속보
24시간 실시간 속보바이낸스, 초고액 자산가 대상 맞춤 서비스 출시
바이낸스가 1000만 달러 이상 보유한 초고액 자산가를 위한 암호화폐 자산관리 서비스 바이낸스 프레스티지(Binance Prestige)를 출시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바이낸스 프레스티지는 패밀리 오피스, 사모펀드 등 고액 자산 운용자들에게 맞춤형 전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르다노 설립자 "대형 기관들, '펌프앤 덤프'로 암호화폐 시장 망가뜨려"
카르다노(ADA) 설립자 찰스 호스킨슨이 대형 기관의 가격 조작이 암호화폐 시장 침체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그는 "기관이 암호화폐 비축(DAT) 전략을 이용해 가격을 인위적으로 끌어올린 뒤 대량 매도하며 시장을 무너뜨렸다. 미국 헤지펀드 시타델과 같은 기관들이 시장 가격을 끌어올린 뒤 공매도로 전환해 수백억 달러의 이익을 취했고, 이 과정에서 암호화폐 마켓메이커들과 개인 투자자들은 큰 손실을 떠안았다. 지금까지 시장 회복이 더딘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런 흐름이 사실상 암호화폐 시장의 표준처럼 굳어졌다. 기관들이 탐욕스럽게 시장에서 이익을 챙기는 동안 개인 투자자들은 반복해서 피해를 입고 있으며, 이들은 2021년 강세장에서 교훈을 전혀 얻지 못했다. 다만 시장은 조금씩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지만, 내년 미국에서 암호화폐 시장구조 법안(CLARITY)이 통과된다면 안정성과 신뢰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해당 법안이 암호화폐 채택을 촉진하고, 비트코인은 2026년 말 25만 달러에 도달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RWA 인프라 플랫폼 프루브, $300만 투자 유치
규제 준수 실물자산(RWA) 인프라 기업 프루브 파이낸스(Pruv Finance)가 프리 A 라운드에서 3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UOB 벤처스 매니지먼트가 주도했으며, 사이슨 캐피털, 타이수 벤처스, 어센트, 스피럴 벤처스, 로얄 그룹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RWA 토큰화 및 온체인 플랫폼 구축에 활용될 예정이다.
아서 헤이즈, 21.8만 PENDLE 매수
비트멕스 공동설립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 추정 주소가 21.8만 PENDLE(53.6만 달러)를 매수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가장 빠른
암호화폐 뉴스
뉴스룸

라이브
코인마켓 인플루언서의 실시간 소식
스트라티스생태계를 위한 빅뉴스입니다. 🔥 모바일 버전은 엄청난 도달 범위를 열어줍니다. 📱 https://t.co/9IB2xyINTC2분 전·

아스타⚡ Astar Ambassador Fellowship 가입 방법에 대한 빠른 안내. 이 튜토리얼은 길드 가입부터 커뮤니티 멤버 NFT 발행, 펠로우십 구조 이해까지 전체 온보딩 과정을 다룹니다. https://t.co/pWKfgNXxp55분 전·
경제 읽어주는 남자(김광석TV)거시경제 유튜버5분 전·유튜브에서 보기
크로노스@ProjInterlude의 끈기 있는 빌더들의 정말 훌륭한 작업입니다 🚀 어떤 온체인 게임을 구축하실 건가요? https://t.co/FNzUKKFyAz6분 전·

마이클 반 데 포프유명 암호화폐 트레이더지금까지 우리는 #Bitcoin 의 중요한 레벨인 86,000달러 영역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이 레벨이 유지되어 90,000달러 영역을 공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월간 종가가 90,000달러 영역 북쪽에서 마감된다면, 이번이 저점이었을 것입니다. https://t.co/9NVczGMdNu
7분 전·
선물
선물 트레이딩 마켓 데이터커뮤니티
커뮤니티 활동만으로 중요한 코인 정보 Get!차트를 아무리 알려줘도 왜 못 벌까? 진짜 이유 알려준다
내가 지금까지 시장을 겪으면서 느낀 건 단 하나다. 아무리 경험을 나누고, 더 나은 매매 방향을 알려줘도 바뀌는 사람은 100명 중 2명 있을까 말까라는 사실. 사람마다 반응은 다르다. "이거 나잖아 ㅋㅋ" 하고 피식 웃는 사람. 혹은 "귀찮아서 그렇지 난 알기만 하면 돼" 하는 사람. 그게 나쁜 건 아니다. 다만 그 정도 태도라면, 그 사람이 도달할 수 있는 성장도 그 지점까지만이다. 하지만 이 글을 보고 조금이라도 뜨금한 사람, 진짜 욕심 있고 정말 차트로 돈을 벌고 싶다는 마음이 있는 사람이라면 오늘 이 글이 변곡점이 될 수도 있다. 니가 뭔데? 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말조차 시장이 증명한다. 누군가는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니가 뭔데 이런 조언을 해?" 라고. 그런데 현실은 단순하다. 바로 그런 사람들 덕분에 나는 이 차트 세상에서 돈을 벌고 있다. 개미들의 심리, 패턴, 행동은 늘 비슷하고 예측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시장에서 반복되는 건 종목이 아니라 사람이다. 개미는 시드가 적어서 망한다?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 개미들은 왜 망할까? 대부분














